변수는 값을 저장, 유지하는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쉽다. 변하지 않는, 바뀌지 않는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때에는 const를 이용하여 저장해주면 된다 const a = 35; a란 변수에 35를 저장해주었다. 이제 이 a란 변수의 35란 값을 변하지 않는다. 수정도 불가능 하다.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에는 const hi jun = 0; 불가능 const hijun = 0; 가능 변수의 이름 중간에는 공백이 들어갈 수 없다. 공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const hi_jun = 0; 이런 식으로 _를 이용해 공백을 표현할 수 있다. 변하는 변수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let을 사용하면 된다. let a = 13; console.log(a); 출력 -> 13 a = 12 console.log(a); 출력 ..
JS에서는 여러가지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다. 숫자 2 #integer 1.5 #float 정수와 실수형이 나뉘어져 있지만 입력 1+3.5 출력 4.5 이런식으로 두 데이터 타입 사이의 계산은 가능하다. 문자열 "Hello" 'Hello' `Hello` 문자열은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. 입력 "Hello"+"Wings" 출력 "HelloWings" 이런식으로 문자열끼리의 연산도 가능하다.
군생활을 11개월 정도 하면서 코딩을 할 때 한 선임의 추천으로 항상 Goorm IDE를 이용하여 코딩 공부를 하였다. vscode를 쓰고 싶지만 사지방 윈도우에는 깔 수가 없고.. 하모니카에 깔려있긴 하지만..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vscode를 볼 때마다 화가 치밀어올랐다..그래서 어쩔 수 없이 웹 IDE인 구름 IDE를 사용하게 되었다. 무료인 데다가 컨테이너를 5개씩이나 주기 때문에 나름 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었지만.. 아무래도 여러가지 제약이 많이 있어 계속해서 사용하기 조금 아쉬웠다.. 거의 클라우드 하나를 공짜로 대여해주는 방식이긴 하지만.. 내가 클라우드 관리자가 아니니깐.. 그렇게 어쩔 수 없지 계속 Goorm IDE를 사용하던 중 스프링에 대해서 공부하게 될 일이 생겼다. 그렇게 설..
군 입대 후 정보보호병으로 살아가며 첫 목표였던 정보보안산업기사 취득을 위해 자대 배치 후 4월부터 공부한 필기 9월 4일 대구 성지중학교에서 필기를 보고 왔다. 시험 막판에 너무 공부를 안해 떨어질거 같았지만 아슬아슬하게 커트라인에 걸쳐 붙었다... 한 두문제 만 더 틀렸다면 탈락했을 것 같다.. 답안지 교체 안하고 처음 선택 그대로 내길 잘했다.. 공부법 책은 알기사를 이용하여 공부하였다. https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aver?bid=17583770 정보보안기사 산업기사 필기+핵심기출 1200제 세트(2021)(개정판 11판)(전4권) 정보보안기사의 전신인 SIS 자격증이 전공/보안실무자 위주의 자격증이었던 것에 비해, 2013년부터 국가공인으로 승격 ..
try1.py 부터 try100.py 파일을 만드려고 할 때 일일이 touch try1.py 부터 touch try100.py 까지 일일이 치기엔 너무 많이 노가다를 해야한다. 그럴 땐 touch try{1..100}.py 하게되면 자동으로 범위를 적어준 만큼의 파일이 생성되게 된다.